맨위로가기

해외 데파르트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외 데파르트망은 프랑스의 행정 구역으로, 프랑스 본토와 동일한 권한을 가진 레지옹의 지위를 갖는다. 1797년 나폴레옹 시대에 이오니아 제도가 해외 데파르트망으로 조직된 것이 시초이며, 1947년 프랑스 헌법에 따라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프랑스령 기아나, 레위니옹, 그리고 알제리가 해외 데파르트망으로 지정되었다. 1982년 분권화 정책 이후 프랑스 본토의 레지옹과 유사한 권한을 갖게 되었으며, 2003년 헌법 개정을 통해 "해외 레지옹"으로 불리게 되었다. 각 해외 데파르트망은 프랑스 국민 의회, 상원, 경제사회환경위원회에 대표를 파견하며, 유럽 의회 의원 선출에도 참여한다. 2020년 기준 해외 데파르트망의 인구는 약 216만 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행정 구역 - 해외 집합체
    해외 집합체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 중 해외 집단(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생피에르 미클롱, 왈리스 푸투나)과 특수 해외 집단(프랑스령 남방·남극 지역, 뉴칼레도니아)으로 나뉘며, 각 지역은 고유의 수도와 행정 체계를 갖거나 자치권을 확대해왔다.
  • 프랑스의 행정 구역 - 프랑스의 데파르트망
    프랑스의 데파르트망은 프랑스 행정 구역의 핵심 단위이며, 1790년 프랑스 혁명 시기에 설치되어 101개로 구성되고, 주 의회에 의해 관리되며, 코뮌으로 세분화되어 현을 중심으로 행정 업무가 이루어진다.
  • 프랑스의 주 - 발두아즈주
    발두아즈주는 프랑스 북중부 일드프랑스 지역의 주로, 샤를 드 골 국제공항과 자연공원을 갖춘 도시화된 지역이며, 농업과 베드타운 기능, 첨단 산업 지구, 역사 유적, 자연공원 등의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프랑스의 주 - 보클뤼즈주
    보클뤼즈주는 프랑스 프로방스알프코트다쥐르 지역에 위치하며 2016년 기준 559,014명의 인구를 가진 주이다.
  • 프랑스의 행정 구역 - 마른주의 캉통
  • 프랑스의 행정 구역 -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령 기아나는 남아메리카 북동부 대서양 연안에 위치한 프랑스의 해외 주이자 유럽 연합의 최외곽 지역으로, 식민지 및 유형지 역사를 거쳐 우주 개발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사회·경제적 문제를 겪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와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지닌 곳이다.
해외 데파르트망
개요
프랑스의 해외 데파르트망 및 레지옹 지도
프랑스의 해외 데파르트망 및 레지옹 지도
행정
국가프랑스
유형해외 레지옹 및 해외 데파르트망
5
정부프랑스 정부
인구
총 인구 (2023년)2,781,434명
면적
총 면적85,294 제곱킬로미터
통계
인구 밀도32.6명/제곱킬로미터 (2023년)
구성
구성 요소프랑스령 기아나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마요트
레위니옹
추가 정보
비고유럽 연합의 특별 영역

2. 역사

프랑스가 해외 영토를 본토의 행정 구역인 데파르트망으로 편입하려는 시도는 프랑스 혁명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797년 나폴레옹이 점령한 이오니아 제도에 처음으로 해외 데파르트망(메르-에제, 이타크, 코르시르)을 설치했으나, 이후 영토 상실과 회복 과정에서 유지되지는 못했다.

현대적인 의미의 해외 데파르트망은 프랑스 제4공화국 시기인 1947년 헌법을 통해 정립되었다. 이때 카리브해과들루프마르티니크, 남아메리카프랑스령 기아나, 인도양레위니옹이 해외 데파르트망으로 지정되었고, 당시 프랑스 영토였던 알제리의 일부 지역도 포함되었다.[1]

2013–2020년 해외 국가 및 영토와 가장 바깥 지역을 포함한 유럽 연합의 세계 지도


1982년부터 시작된 프랑스 정부의 분권화 정책으로 해외 데파르트망은 본토의 레지옹과 유사한 자치 권한을 가진 지역 의회를 선출하게 되었다. 2003년 헌법 개정으로 '해외 레지옹'이라는 명칭도 법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실제 프랑스 언론 등에서는 '해외 데파르트망'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영토의 지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생피에르 미클롱은 1976년부터 1985년까지 해외 데파르트망이었으나, 인구 규모(약 6,000명) 등을 고려하여 해외 집합체로 지위가 변경되었다. 반면, 마요트는 2009년 주민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95%)으로 해외 데파르트망 전환을 결정했고, 2011년 3월 31일 공식적으로 해외 데파르트망이 되었다.[2]

2. 1.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

프랑스가 해외 데파르트망을 설치하려 했던 첫 시도는 1797년 나폴레옹베네치아 공화국정복한 이후였다. 당시 베네치아 소유였던 이오니아 제도프랑스 통령정부로 넘어가 메르-에제, 이타크, 코르시르 데파르트망으로 조직되었다. 1798년 러시아 제독 표도르 우샤코프가 프랑스를 이 섬들에서 몰아냈고, 프랑스는 1807년 틸지트 조약을 통해 다시 점령했지만, 이 세 데파르트망은 복원되지 않았다.

2. 2. 제4공화국과 해외 데파르트망

1947년 프랑스 제4공화국헌법에 따라, 카리브해과들루프마르티니크, 남아메리카프랑스령 기아나, 인도양레위니옹 등 당시 프랑스 식민지가 해외 데파르트망으로 규정되었다. 이전에 3개의 데파르트망과 1개의 영토로 나뉘었던 북아프리카알제리[1]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1982년 이후 프랑스 정부분권화 정책에 따라, 해외 데파르트망은 프랑스 본토의 레지옹과 유사한 권한을 가진 지역 의회를 선출하게 되었다. 2003년 헌법 개정으로 이러한 지역들은 "해외 레지옹"으로 불리게 되었으나, 실제 프랑스 언론에서는 "해외 데파르트망"이라는 용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생피에르 미클롱해외 집합체는 1976년부터 1985년까지 해외 데파르트망이었으나, 인구가 약 6,000명에 불과하여 더 작은 집합체 단위가 더 적합하다는 판단 하에 변경되었다. 반면, 마요트의 해외 집합체는 2009년 3월 29일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투표자의 95%가 해외 데파르트망이 되는 것에 찬성했다. 마요트는 2011년 3월 31일 공식적으로 해외 데파르트망이 되었다.[2]

2. 3. 분권화와 해외 레지옹



1982년 이후, 프랑스 정부의 분권화 정책에 따라, 해외 데파르트망은 프랑스 본토 레지옹과 유사한 권한을 가진 지역 의회를 선출하게 되었다. 2003년에 있었던 헌법 개정의 결과로, 이러한 지역은 이제 "해외 레지옹"으로 불리게 되었다. 실제로 헌법의 새로운 문구는 "해외 데파르트망" 또는 "해외 레지옹"이라는 용어에 우선 순위를 두지 않지만, 후자는 프랑스 언론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생피에르 미클롱해외 집합체는 1976년부터 1985년까지 해외 데파르트망이었으나, 약 6,000명의 적은 인구 때문에 더 작은 집합체 단위가 더 적합하다는 판단 하에 변경되었다.

마요트의 해외 집합체는 2009년 3월 29일에 국민투표를 실시했으며, 투표의 95%가 해외 데파르트망이 되는 것에 찬성했다. 이에 따라 마요트는 2011년 3월 31일에 해외 데파르트망이 되었다.[2]

2. 4. 생피에르 미클롱과 마요트

생피에르 미클롱해외 집합체는 1976년부터 1985년까지 해외 데파르트망 지위를 가졌다. 당시 프랑스의 다른 해외 데파르트망 인구가 20만 명에서 100만 명 사이였던 것에 비해, 생피에르 미클롱의 인구는 약 6,000명에 불과하여, 더 작은 규모의 행정 단위인 집합체가 더 적합하다고 여겨졌다.

마요트는 이전에는 해외 집합체였으나, 2009년 3월 29일에 실시된 지위 변경 국민투표에서 투표자 95%가 해외 데파르트망 전환에 찬성했다. 이에 따라 마요트는 2011년 3월 31일부로 프랑스의 해외 데파르트망이 되었다.[2]

3. 지리 및 특징

각 해외 데파르트망은 그 자체로 '''해외 레지옹'''(région d'outre-mer프랑스어)이며, 프랑스 본토의 레지옹과 동일한 권한을 가진다. 이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는 둘을 구분하지 않고, 프랑스 언론에서는 주로 département d'outre-mer프랑스어 (''DOM'')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해외 데파르트망은 프랑스 공화국과 유럽 연합의 일부로서, 프랑스 국민 의회, 프랑스 상원, 그리고 프랑스 경제사회환경위원회에 대표를 보낸다. 또한, 이 지역 주민들은 유럽 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투표에 참여하며, 유로를 통화로 사용한다. 이는 자치권을 가진 해외 집합체와는 다른 지위이다.

행정 구조 면에서는 과들루프레위니옹은 각각 별도의 데파르트망 의회와 레지옹 의회를 가지고 있다. 반면, 마요트, 기아나, 마르티니크에서는 이 두 의회가 하나로 통합되어 단일 영토 집합체로서 운영된다. 해외 데파르트망은 1982년 프랑스의 분권화 정책에 따라 선출된 레지옹 평의회를 갖게 되었고, 2003년 헌법 개정을 통해 '해외 레지옹'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EU 본토와의 거리 및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일부 해외 데파르트망은 주변 국가들과 경제 및 협력 기구에 참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마르티니크과들루프동카리브 국가 기구 (OECS)와 카리브 국가 연합 (ACS)에 참여하고 있다.

4. 인구

현재 해외 데파르트망 및 레지옹의 역사적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현재 해외 데파르트망 및 레지옹의 역사적 인구[4][6]
연도인구
1950720,000
1960949,000
19701,194,000
19801,286,000
19901,566,000
20001,865,000
20102,148,000
20202,165,749[3][5]



각 데파르트망 및 레지옹의 상세 인구 통계는 다음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프랑스령 기아나의 인구 통계
  • 과들루프의 인구 통계
  • 마르티니크의 인구 통계
  • 마요트의 인구 통계
  • 레위니옹의 인구 통계

참조

[1] 서적 Israel in Search of a War: The Sinai Campaign, 1955-1956 Sussex Academic Press 1998
[2] 뉴스 Mayotte: 95.2% de "oui" au final https://www.lefigaro[...] 2021-01-01
[3] 웹사이트 Estimation de population au 1er janvier, par département, sexe et grande classe d'âge https://www.insee.fr[...] INSEE 2020-05-05
[4] 웹사이트 Estimation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20 https://www.insee.fr[...] INSEE 2020-05-05
[5] 웹인용 Estimation de population au 1er janvier, par département, sexe et grande classe d'âge https://www.insee.fr[...] INSEE 2020-05-05
[6] 웹인용 Estimation de la population au 1ᵉʳ janvier 2020 https://www.insee.fr[...] INSEE 20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